-
자바 스터디(1) - 배열웹 개발/스프링 2022. 11. 24. 16:52
배열이란?
-같은 타입의 변수를 하나로 선언해줌
*여기서 주의해야 되는게, 무조건 '같은 타입'의 것들만 묶어줘야 됨! - 정수는 정수끼리 실수는 실수끼리 문자열은 문자열끼리
-배열은 참조변수를 통해서 인덱스(저장 공간, 순서)를 다루게 된다.
배열 선언 방법
1. 타입[] 변수이름
int[] score; string[] name;
2. 타입 변수이름[]
int score[]; string name[];
보통 2번을 많이 쓰게 되는 것 같다.
배열을 변수 안에 담기
int value = score[3]; //배열 score의 4번 째 요소의 값을 읽어서 value라는 변수 안에 저장한다. //value와 score 변수는 서로 무관한 존재
int[] score = new int[5]; //길이가 5인 int 배열을 생성한다.(선언한다. = new) //배열의 이름은 여기서 score이고 각 인덱스를 부여한 원소들은 score[0] score[1]이런 식으로 된다.
배열의 인덱스에 값을 넣기
score[3] =100;
score의 4번째 인덱스에 100이라는 값을 넣는다.
int value = score[3];
value라는 값 안에 score배열의 4번째 인덱스를 넣는다.
착각하지 않아야 되는게,
int[] arr = new int[5];
이 친구 꼴이랑 바로 위의 코드랑 헷갈릴 수 있는 건데, new가 들어가는 것은 생성한다는 것임으로 arr 배열은 길이가 5인 정수형 배열이라는 것이다. 하지만 위는 score배열의 4번째 인덱스 값이 value에 들어간다는 것이다.
배열의 길이 =배열 .(의) length
int tmp = arr.length;
tmp를 선언하고 arr의 배열 길이를 변수 tmp 안에 넣는다.
배열은 한 번 생성되면 프로그램 실행 동안 그 길이를 바꾸는 것이 불가능 하다.
'웹 개발 > 스프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프링(3) - 계층적 구조 (0) 2023.03.27 스프링(2) - 프로젝트 구조 (0) 2023.03.25 스프링(1) - MVC (0) 2023.03.15 자바 스터디(2) - 배열의 출력 (0) 2022.11.24 자바 스터디(2) - 배열의 출력 (0) 2022.11.24